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100

[백준] 1246. 온라인 판매(c++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461. 내림차순 정렬2. max(ans, p(i) * (i+1))이 조건만 생각하다가달걀 개수가 고객의 수보다 넘는 경우를 분기에 안 넣어줬고,i+1은 해줬는데 조건문에는 i>n이라고 해서 틀렸다. 문제를 읽고 말 그대로 수행하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.  #include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 ios::sync_with_stdio(0); cin.tie(0); cout.tie(0); int n, m; cin >> n >> m; vecto.. 2024. 12. 24.
물어보새(2024-12 우아한 테크세미나 - LLM편) Problem구성원들의 데이터 활용 능력이 부족하다:이 때 부족이란?데이터를 잘 모르거나쿼리문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것 Solution : 물어보새(enhancing data literacy)데이터 이해 : 데이터의 구조와 의미 파악 능력->Data Discovery : 데이터의 다양한 정보 제공 데이터 생성 : 필요한 데이터 수집 및 가공 능력->Text-to-SQL : 데이터 생성 기능 지원 데이터 분석 : 분석 기반의 인사이트 도출 능력->Agentic Analytic : 데이터 분석 서비스 기능 제공 데이터 기반 의사소통 :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->Knowledge Sharing: 지식 검색 및 공유 효율화 지원 1. Data Discovery : 데이터 이해를 돕는 기능해설 - .. 2024. 12. 23.
프로젝트 관리 트렌드? 신입사원 뽑을 때…(면접 시)신입사원은 신규툴 경험이 밥값을 하는 것이다업무를 파악하는 능력(실무)과 쿼리 짜는 능력이 중요하다협업excel은 산출물용jira의 간트차트로 진척관리if) 담당자와 팔로우업할 거리들이 많아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.->난잡하지 않은 툴로 tight하게 (요즘은 confluence로)기획, 디자인기획/디자인/퍼블리싱이 한 팀이다화면 설계서 툴 : figma(**) or xd고객이 많을수록 figma의 표준은 더욱 더 중요해진다.BE 설계개발 설계는 죽는 추세, 스웨거로 대체됨스웨거 작성 시 기준: qa(외부인)들이 프로젝트 말미에 봐도 스웨거를 봐도 알 수 있을 정도(parameter까지??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고려..) FE 설계front(pinia도 디자인이 중요하다)상태 .. 2024. 12. 23.
[백준] 12789. 도키도키 간식드리미(c++)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2789분기를 잘 설계하는 것도 능력이다stack을 제대로 고려안해서 for문으로 무지성으로 돌리다가 된통 혼났다.while문으로 stack은 flush 해줍시다.#include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 { ios::sync_with_stdio(0); cin.tie(0); cout.tie(0); int n; int arr[1001] = { 0 }; stack stk; int cur_value = 1; // 현재 간식을 받.. 2024. 12. 23.
props란? 부모 컴포넌트 value(전달인자)→ 자식 컴포넌트props는 자식컴포넌트에서 read-only로만 씀 (매개변수로써) 리액트는 매우 유연하게 사용하지만 한 가지 엄격한 규칙이 있다. "모든 React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룰 때 반드시 순수 함수처럼 동작해야 한다."똑같은 props를 던져줬는데, 다른 출력 값이 나온 예→ 순수함수가 아니다  부모 컴포넌트? 자식 컴포넌트?자식 컴포넌트는 얘네한테 주는 애들..부모 컴포넌트는 대체로 가져다 쓰는 애들(ex.공통컴포넌트 가져다가 쓰는 애들) state는 지역변수(수정 가능)→ component 안에서 자체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값 2024. 12. 21.
[React] 리액트가 추구하는 개발방식 CBD(Component Based Development)컴포넌트를 쌓고 ,, 컴포넌트를 싸고.. 하는 방식이다.→ 재사용성을 중점으로 둔 구조인 것이다. 2024. 12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