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Front-end3

props란? 부모 컴포넌트 value(전달인자)→ 자식 컴포넌트props는 자식컴포넌트에서 read-only로만 씀 (매개변수로써) 리액트는 매우 유연하게 사용하지만 한 가지 엄격한 규칙이 있다. "모든 React 컴포넌트는 자신의 props를 다룰 때 반드시 순수 함수처럼 동작해야 한다."똑같은 props를 던져줬는데, 다른 출력 값이 나온 예→ 순수함수가 아니다  부모 컴포넌트? 자식 컴포넌트?자식 컴포넌트는 얘네한테 주는 애들..부모 컴포넌트는 대체로 가져다 쓰는 애들(ex.공통컴포넌트 가져다가 쓰는 애들) state는 지역변수(수정 가능)→ component 안에서 자체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값 2024. 12. 21.
[React] 리액트가 추구하는 개발방식 CBD(Component Based Development)컴포넌트를 쌓고 ,, 컴포넌트를 싸고.. 하는 방식이다.→ 재사용성을 중점으로 둔 구조인 것이다. 2024. 12. 21.
[React] 가상 DOM을 그릴 때(feat. diffing) 처음 가상 DOM을 그릴 때 실제 DOM 트리에 fragment를 제외하고 실제 DOM 트리에 Rendering 된다.(diffing을 통해)두 번째 부터 update된 실제 DOM 트리와 비교해서 diffing을 통해 수정한다….element를 업데이트 할 때 가상 dom을 매번 새로 그리지만 실제 dom tree와 비교해서 diffing을 한다(실제 dom tree를 바꾸는 것이 아님).   리액트 엘리먼트는 불변객체(immutable)이다. 엘리먼트를 생성한 이후에는 해당 엘리먼트의 자식이나 속성을 변경할 수 없다. (엘리먼트는 영화에서 하나의 프레임처럼 특정 시점의 UI를 나타낸다.) 따라서 엘리먼트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완전히 새로운 엘리먼트를 만들고 ReactDOM.r.. 2024. 12. 21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