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친 마음은 털어버리고, 다시 나아가자
1. 비전
- 대규모 시스템 아키텍처 전문가 및 데이터 분석 전문가
2. 기간별 목표 설정
- 단기 목표 (6개월)
- 기술 심화:
- 백엔드: (Kotlin,Java) - Spring 강의 완강하기
- CS: 블로그로 정리해서 발췌 식으로 꺼내볼 수 있도록 하기
- 운영체제, 소켓 프로그래밍은 실습 따라서 완성물 구현
- 프로젝트:
- Snail 완료 - ES,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
- 사이드 프로젝트:
- RabbitMQ를 사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현
- RAG를 사용해서 물어보새 sql 구현(AI Agent 경험)
- 일일 학습 루틴 정립: 매일 몇 시간씩 할애하는 학습과 코딩 시간 확보
- 기술 심화:
- 중기 목표 (1년 ~ 2년)
- 대규모 시스템 경험: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,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설계 및 운영 경험 쌓기(트래픽 대응 경험)
- 리더십 경험: 코드 리뷰, 기술 토론, 멘토링 등 팀 내 리더십 경험
- 전문 분야 확립: 데이터베이스 설계, 고가용성 시스템, 분산 트랜잭션 등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키우기
3. 일일 및 주간 루틴
일일 루틴 (평일)
- 알고리즘: 출근길 Lv.2 문제 1개 or 바킹독
- 기술 학습: 1–2시간 (서적·온라인 강의)
- 코딩 실습: 2시간 (우선순위 프로젝트 하나 집중)
- 기록·회고: 15분 (개발 노트, 블로그 초안)
- 운동 루틴: 러닝 3회/주, 클라이밍 2회/주
주간 루틴 (주말)
- KPI 점검 & 원인 분석: 주간 목표 달성률 확인(%) 및 미달성 요인 포스트모템
- 기술 공유: 스터디·온라인 포럼·블로그/유튜브 콘텐츠 1회
- 프로젝트 리뷰: 장애 요소 파악 및 개선 작업
- 휴식 겸 운동: 클라이밍 1회 + 맛집 탐방
4. 핵심 역량 및 학습 영역
- 서버 및 인프라
- 언어/프레임워크: Java/Kotlin(Spring), Go(Gin), Rust(Actix)
- 데이터베이스: MySQL, Redis, Cassandra, TiDB
- 클라우드: AWS/GCP/Azure, Kubernetes, Istio
- 보안: OAuth2, mTLS, WAF, Zero Trust
- 프로젝트 관리 및 협업
- 애자일 방법론: 스크럼, 칸반 등 팀 프로젝트에서의 효율적인 협업 방법론 → 현업 방식 체화
- 버전 관리 및 CI/CD: Git, GitHub/GitLab 활용과 자동화 빌드/배포 파이프라인 구축
- 관측성(Observability) & SRE
- Prometheus, Grafana, ELK 스택, 분산 트레이싱(Apache SkyWalking, Jaeger)
- SLO/SLI 설정 및 사고 대응 워크플로우
- 데이터·AI 연계
- 머신러닝 모델 배포(MLflow, Seldon)
- 추천 시스템,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처리(Flink, Spark Streaming)
- 소프트 스킬
- 문제 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: 기술적 문제를 명확히 파악하고, 팀 내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솔루션 도출
- 리더십 및 멘토링: 동료 개발자와의 지식 공유 및 리더십 발휘
5. 경험 및 커뮤니티 참여
- 프로젝트 경험
- 운영 시스템 장애 대응 워게임 및 실제 운영 경험 쌓기
- RabbitMQ 기반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현
- 사이드 프로젝트
- RAG 기반 SQL 생성 AI 에이전트
- Snail 서비스에 Elasticsearch·모니터링 추가
- 커뮤니티 활동
- 기술 블로그/유튜브: 스터디, 프로젝트 경험, 기술적 통찰 등을 외부와 공유
- 세미나 및 컨퍼런스: 발표 또는 참가를 통한 네트워킹 및 최신 트렌드 습득
6. 자기 평가 및 피드백 체계
- 정량적 평가 대시보드: 월별 KPI(블로그 글 수·PR 건수·가용성 지표)
- 멘토링 & 리뷰: 사내·외 멘토와 월 1회 1:1 피드백
- 포스트모템 문서화: 장애·실패 사례 기록 → 조직·커뮤니티 공유